01
유튜브 ㅣ Hazel Song - 진짜 UX 이해하기, UIUX 차이점
고졸에서 지금은 Hopin이라는 런던에 있는 회사에 소속되어 연봉 1억을 받으면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재택근무를 하고 계신다. 끈기와 용기를 가지고 노력하고 성장하시는 모습이 엄청난 자극이 됐다. 세상에 멋진 사람들이 정말 많다! 위 영상의 내용을 다시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기록.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와 이야기를 많이 하고 사용자를 내 디자인 프로세스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추구해야한다. 그런데 사용자랑 이야기 한 마디도 안 해보고 와이어프레임만 그리면서 UX 디자이너라고 하는 사람들을 비판하고 싶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대한 많은 데이터가 있어야 디자인 결정을 잘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UX가 전부가 아니다. 본질은 디자인인데 디자인을 잘 하기 위해서 UX인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는 것이다. 잘 된 디자인이란 심미적인 것도 적합하고 비즈니스 이윤 창출도 하고 사용성도 좋고 목적에 맞는 디자인이다. 여기에서 사용성은 디자인의 기초라고 생각하고,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써 사용성, 인터랙션 디자인, 비주얼 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사용자 경험을 다 고려해서 결국에는 이윤 창출을 돕는 것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유저의 이야기만 들어서 디자인을 하면 우리의 미션과 비전에 맞춰갈 수 없어. 우리가 지금 상황에서는 우리의 감을 이용해서 디자인을 해야 돼."라고 동료가 한 이야기가 아직도 기억에 많이 남는다. (Lean Start up 책 읽어보기) 유저 리서치를 하지 말자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에서는 모든 과정을 다 밟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서는 융통성 있게 일단 런칭하고 피드백받고 다시 디벨롭하는 방식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이너로서의 직관intuition은 아티클도 읽고 강의도 보고 많은 상품을 디자인해본 경험을 통해서 축적된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디자이너로서의 직관을 사용해도 괜찮다. 하지만 유저리서치를 통해 얻은 데이터로 디자인 결정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유리로된 케찹병은 UI이고 플라스틱으로된 케찹병은 UX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좋은 디자인이란 문제에 따라서 해결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케찹을 프리미엄 전략으로 고급스럽게 만들어서 판매한다면 유리로된 케찹병이 더 나은 디자인일 것이고, 조금 남아있는 케찹이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플라스틱으로 된 케찹병이 더 나은 디자인일 것이다. 어떤 디자인을 볼 때 이 디자인이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을까? 어떤 제약이 있었을까?라고 생각을 해야 비판적인 사고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그리고 UI는 디지털과 유저를 연결해주는 연결 매개체이므로 이 케찹병은 UI이고 이 케찹병은 UX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비유이다.
02
유튜브 ㅣ Hazel Song - 유학안가고 영어 독학한 방법
항상 영어를 잘 하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어려운 것 같다. 헤이즐 송님이 강조하는건 결국 꾸준히가 중요하다는 것. 일단 매일 한 문장씩 외워보자. 그리고 영어로된 디자인 아티클과 강의로 공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렇게 하다보면 영어가 편해지는 날이 반드시 온다.
'제로베이스UIUX스쿨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UI TIL] 230220_UX에서 중요한 것 (0) | 2023.02.20 |
---|---|
[UXUI TIL] 230219_마이루틴/영어 공부 (0) | 2023.02.19 |
[UXUI TIL] 230217_정답은 없으나 모든 것에 이유가 필요하다 (0) | 2023.02.17 |
[UXUI TIL] 230215_롱런 커리어?/여기어때 UX디자이너 라이브세션 (0) | 2023.02.15 |
[UXUI TIL] 230214_성장 마인드셋/포트폴리오 피드백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