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분석17 BONDEE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갑자기 유행처럼 인스타에 올라와서 궁금해서 사용해본 본디의 UX·UI를 분석해보고 개선점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1. 본디는 어떤 서비스일까? 본디는 인스타랑 싸이월드, 메타버스를 합쳐놓은 것 같은 메타버스 메신저 앱입니다. 아바타를 만들고 내 방을 꾸미고 친구들과 아파트로 이루어서 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고 채팅도 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하면 진입 장벽이 높은 것 같은데 귀여운 느낌으로 누구나 메타버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에요. 사용자 수는 20대가 가장 많고 신규 설치율 순위는 10대가 가장 높다고 합니다! 2. 본디의 화면 구성은 어떻게 돼 있을까? 1) 아바타 꾸미기 초반에 번호인증으로 가입을 하면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데요. 왼쪽 중간에 얼굴과 옷을 설정할 수 있는 탭이 있고, .. 2023. 2. 10. 트렌비, 머스트잇, 발란 앱에서 신뢰를 위한 UI 장치 찾아보기 팬데믹 속에서 급부상한 온라인 명품 거래 플랫폼 트렌비, 머스트잇, 발란. 최근 가품 논란으로 신뢰 문제에 맞닥뜨렸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트렌비, 머스트잇, 발란을 중심으로 UI적으로 어떤 신뢰 장치를 제공해주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마케팅 효과는 발란이 1위, 매출은 3위 온라인 명품 거래 플랫폼들은 유명 연예인들을 모델로 광고를 하며 시장의 크기를 키웠는데요. 에 따르면 광고 모델 선정 관련해서는 발란이 확실히 앞서가고 있지만, 매출은 트렌비와 머스트잇에 밀려 3위를 자치하고 있습니다. (출처: ㅍㅍㅅㅅ https://ppss.kr/archives/249602) 발란이 온라인 명품 구매시 가장 중요한 플랫폼 신뢰도에서 밀려서가 아닐까? 트렌비에서 25세부터 49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2023. 1. 31. 카카오톡 선물하기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비대면으로 선물할 때 자주 쓰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오늘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UX·UI를 분석할고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어떤 서비스일까? 2.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화면구성은 어떻게 돼 있을까? 3. 개선점은 무엇이 있을까? 4.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 분석을 마치며 1.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어떤 서비스일까?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2010년 12월에 출시되었으며 카카오톡에 있는 사람들과 대화 속에서 편하게 선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10대부터 50대까지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선물을 받은 사람 10명 중 7명은 누군가에게 다시 선물을 한다고 합니다. 위 영상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홍보영상인데 추석.. 2023. 1. 29. 컬리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신선식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서비스가 생긴 이후로 시간을 내서 마트에 가지 않아도 되고, 장을 본 후 무겁게 들고 오지 않아도 돼서 삶의 질이 높아진 것 같아요. 오늘은 그 중에 가격보다 품질을 우선시하고 새벽배송의 선두두자인 컬리 UX·UI를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컬리는 어떤 서비스일까? 2. 컬리의 화면구성은 어떻게 돼 있을까? 3. 개선점은 무엇이 있을까? 4. 컬리 앱 분석을 마치며 1. 컬리는 어떤 서비스일까? 자정 전에 주문하면 내일 아침에 도착하는 새벽배송(컬리 안에서는 ‘샛별배송’이라고 부름)을 앞세운 온라인 마켓의 선두두자인 마켓컬리. 쿠팡, 이마트, 홈플러스, GS마트, 롯데마트 등 많은 마트에서 그 뒤를 따라가고 있죠. 보라색 컬러를 사용.. 2023. 1. 22. 오늘의 집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오늘의 집은 인테리어하면 바로 떠오르는 어플이죠. 오늘은 오늘의 집 UXUI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오늘의 집은 어떤 서비스일까? 2. 오늘의 집의 화면구성은 어떻게 돼 있을까? 3. 개선점은 무엇이 있을까? 4. 오늘의 집 앱 분석을 마치며 1. 오늘의 집은 어떤 서비스일까? 오늘의 집은 인테리어 어플로 온라인 집들이 콘텐츠부터 스토어, 전문가, 시공 서비스 등 인테리어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원래는 오늘의 집 주 사용자 층이 2024였는데 코로나19 이후로 재택근무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2035까지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위 영상은 윤아를 모델로 촬영한 홍보영상인데 '온라인 집들이' 콘텐츠를 강조하고 .. 2023. 1.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