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으로 선물할 때 자주 쓰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오늘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UX·UI를 분석할고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어떤 서비스일까?
2.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화면구성은 어떻게 돼 있을까?
3. 개선점은 무엇이 있을까?
4.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 분석을 마치며
1.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어떤 서비스일까?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2010년 12월에 출시되었으며 카카오톡에 있는 사람들과 대화 속에서 편하게 선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10대부터 50대까지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선물을 받은 사람 10명 중 7명은 누군가에게 다시 선물을 한다고 합니다.
위 영상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홍보영상인데 추석에 못 오는 딸에게 메세지와 함께 카카오톡 선물하기로 명절 선물을 보내는 내용입니다. 심플하지만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요!
2.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화면구성은 어떻게 돼 있을까?
1) 생일인 친구 확인
카카오톡에 진입하면 생일인 친구를 확인할 수 있고 바로 선물하기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지인의 생일 정보를 알 수 있어서 편하고, 카카오는 매출을 올릴 수 있어서 서로 좋은 윈윈할 수 있는 기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 더보기에서 진입
더보기에서도 선물하기 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한데요. 예전에는 기프티콘을 사용하려면 선물하기에 들어가서 선물함으로 들어갔어야 했는데, 최근에 '받은 선물' 바로가기가 생겨서 진입 뎁스를 하나만 줄였는데도 사용이 편해졌어요.
3) 친구의 위시리스트
카카오톡 선물하기로 들어가면 나오는 홈 화면입니다. 친구 프로필에서 바로 진입하지 않고 더보기를 통해 선물하기 페이지로 진입했다면, 친구를 선택한 후에 친구의 위시리스트와 주고 받았던 선물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툴팁 형태로 선물할 친구를 먼저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생일, 출산, 결혼 등 상황에 따라 선물을 빠르게 고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4) 뭐 선물해주지?
친구의 위시리스트에서 선물을 고르지 못 했다면 금액대별로, 상품 종류별로, 상황별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상세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선물을 고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이 바쁜 현대사회의 사용자들을 고려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고민될 땐 선물랭킹!' 부분에서 세 뎁스를 다른 탭 UI 형태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인상 깊어요.
5) 제품 상세페이지
제품 상세페이지에서는 상품설명과 선물후기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선물하기 CTA 버튼을 눌러서 선물할 수 있습니다. 선물을 받는 사람이 색상 등의 옵션을 고를 수 있어서 혹시나 마음에 안 들면 어떻게 하지 하는 걱정을 덜 수 있어요.
선물후기에서는 만족도, 사진/동영상 모아보기, 사진+글 후기 등의 형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진+글 후기에서는 선택한 옵션을 함께 볼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공감을 할 수도 있습니다.
6) 여러 개를 선물해주고 싶어!
여러 개를 선물해주고 싶을 때 하나씩 나눠서 결제했었는데, 선물상자라는 기능이 생겨서 여러 개를 담아서 한 번에 보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산별로 선물조합을 추천해줘서 고민할 시간을 줄여줍니다.
7) 내 선물함 / 위시리스트
선물함 상단에는 프로필 사진, 이름, 생일 정보가 나와있고, 그 아래에는 받은 선물, 위시리스트, 쿠폰, 포인트 리스트, 미 사용 선물 등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내 위시리스트에서는 찜한 상품 리스트가 뜨고, 친구공개와 나만보기로 나누어서 볼 수 있는데요. 상품 모듈에서 바로 찜을 취소하거나 공개여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시리스트 중 친구가 선물을 해주면 나만보기로 자동으로 바뀌어서 중복된 선물받기를 방지할 수 있어요.
3. 개선점은 무엇이 있을까?
1) 내가 설정한 친한 친구 생일 때 추가적으로 알림을 해 줬으면!
카카오톡 홈에서 친구 생일을 확인하지 않으면 놓치고 지나갈 때가 있는데, 친한 친구의 경우에는 생일 알림 설정을 해 두면 추가적으로 알림을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2) 가장 최근 내 생일 때 선물해준 친구의 생일에 알림을 해 줬으면!
선물은 관계를 위해 기브앤테이크가 중요하기 때문에 잊지 않고 선물할 수 있도록 가장 최근 내 생일 때 선물해준 친구의 생일에 알림을 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원하는 날짜에 선물 발송할 수 있도록 예약이 가능했으면!
친구 생일을 확인했는데 오늘이 아니라면 기억해 두었다가 그 날 선물을 해 줘야 하는데, 잊어버릴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친구 생일을 확인한 후에 해당 날짜에 발송될 수 있도록 예약기능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4) 위시리스트를 공개하지 않는 친구에게 선물할 때 힌트를 얻을 수 있었으면!
내 위시리스트를 사용하지만 공개하지 않는 사람들. 왜 공개하지 않는지 진짜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정확하지 않지만 제 생각에는 너무 노골적인 것 같아서 나만보기를 해 놓는 것이라는 추측을 해 봅니다. 이런 경우의 사람들에게 선물을 고를 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약간의 힌트를 주면 좋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위시리스트 하단에서 그 사람이 좋아할 것 같은 제품들을 추천해주는 식으로요!
4.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 분석을 마치며
이제는 많은 국민들이 생일, 명절 등에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서 선물을 주고 받는 것이 익숙해 졌죠. '친구가 뭘 좋아할까?', '친구 주소를 모르는데..', '이 색이 맘에 안 들면 어떡하지?' 등 선물을 할 때 하는 고민들을 사용자 입장에서 잘 해결되어 있는 것이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가 어떤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지 기대가 됩니다!✨
'제로베이스UIUX스쿨 > 앱 UXUI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NDEE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0) | 2023.02.10 |
---|---|
트렌비, 머스트잇, 발란 앱에서 신뢰를 위한 UI 장치 찾아보기 (0) | 2023.01.31 |
컬리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0) | 2023.01.22 |
오늘의 집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0) | 2023.01.14 |
토스 UX·UI 분석하고 개선점 찾기 (0) | 2022.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