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아티클 ㅣ 미디엄 - How to become a UX Designer at 40 with no digital or design experience
아침에 본격적으로 할 일을 시작하기 전, 미디엄에 들어가서 아티클을 읽었다. 좋은 자료는 영어로 된 게 많아서 영어를 더 능숙하게 하고 싶은 욕구가 있어서 시작하게 되었다. UX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를 배울 수 있어서 꾸준히 계속 읽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아래 아티클은 디지털이나 디자인 경험이 없는 사람이 UX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아티클 초반에 나와있는 UX 정의 부분을 번역해 적어 보았다. 누군가 "UX가 뭐야?", "UX가 뭐라고 생각해?" 라고 할 때 설명이 쉽지 않은 것 같은데, 아래와 같이 이야기하면 쉬울 것 같다! 😋
How to become a UX Designer at 40 with no digital or design experience
Notes I wish I’d had before becoming a Designer in Sydney.
uxplanet.org
-
What is User Experience Design?
User Experience Design is the process of enhancing a persons experience with a product or service and involves an understanding of their behaviour to create a successful design.
Example: A business has an app, they want the sign-up process to have a great User Experience (UX). You have business requirements. You find the engineers (computer programmers) limitations. You research, collaborate with designers and others. You create ideas and prototypes to test. You develop what is the best, test more and iterate on that. That’s UX.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사람들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며, 성공적인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 그들의 행동에 대한 이해가 포함됩니다.
예시: 한 회사가 앱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좋은 사용자 경험(UX)을 가지기 위한 과정에 참여하길 원합니다. 너는 회사의 요구사항이 있습니다. 당신은 개발자의 한계를 찾습니다. 당신은 조사하고, 디자이너와 다른 사람들과 협업을 합니다. 당신은 아이디어를 내고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합니다. 당신은 무엇이 가장 좋은지 발전시키며 테스트를 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게 UX입니다.
02
제로베이스 ㅣ 두 번째 포트폴리오 - 주제 선정 / 인터뷰 진행
패션 커머스 중에 하고 싶었는데, 발란 앱으로 진행하기로 정했다. 사업 아이디어나 김혜수를 모델로 하는 마케팅은 좋은데 앱의 사용성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개선해 보기로 했다. 빠르게 인터뷰 질문지 작성을 하고 지인들에게 연락해서 인터뷰 요청을 했다. 인터뷰 참가자가 생각보다 쉽게 구해졌다.. 이번에도 고마운 지인들..🥹 심지어 빠르게 인터뷰 가능 시간이 잡혀서 벌써 오늘 여섯 명 진행했고, 내일 한 명 더 이렇게 진행할 예정.
아래는 UT시 주의할 점을 다시 상기시키기 위해 읽었던 아티클들이다. 두 아티클 모두 스티브 크룩의 책인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 마>와 <사용성 평가, 이렇게 하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강남언니 블로그는 예를 들어서 설명해줘서 이해가 더 빠르다.
고객의 의견(느낌, 의향, 선호, 제안 등)은 묻지마라.
고객이 실제 그렇게 행동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렵다.
실제 행동과 생각, 관찰을 통해 사용성 문제를 찾아야 한다.
원래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지 방법을 물어봤는데 이 부분을 읽고 위의 인터뷰 질문지에서 해당하는 질문을 지웠다. 인터뷰에서도 개선 방법에 대해 질문해봤는데, 질문을 받는 사람에게 어려운 것 같기도 하고 정말 본인이 어떻게 행동할지 모르는데 그냥 생각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딱히 좋은 질문은 아닌 것 같았다.
UT(사용성 테스트)로 고객 이해하기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고객과 친밀도 쌓는 법 by 강남언니 블로그
blog.gangnamunni.com
UT 진행 방법
UX Research Methods UT / Interview / Survey 중 어떤 리서치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 고객을 알고 싶을 때 Generative Research 서비스의 사용성을 알고 싶을 때 Evaluative Research 정성 Interview UT 정량 Survey Q. 고객들
daisydesigner.tistory.com
'제로베이스UIUX스쿨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UI TIL] 230205_자소서&이력서 작성 (0) | 2023.02.05 |
---|---|
[UXUI TIL] 230204_데스크리서치/인터뷰 진행 및 정리 (0) | 2023.02.04 |
[UXUI TIL] 230202_외주 회의/포트폴리오 강의 (0) | 2023.02.02 |
[UXUI TIL] 230201_포트폴리오 일단 완성, 그리고 다시 시작! (0) | 2023.02.01 |
[UXUI TIL] 230125_UI 디벨롭, 포트폴리오 피드백 (0) | 2023.01.25 |
댓글